우리가 인터넷이나 모바일로 주식주문을 넣으면 어떤일이 일어날까. ?
생각보다 꽤 복잡한 일이 벌어진다.
살펴보자.! ( 미국의 경우이고 한국은 다를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
1) Buy or Sell
사는주문, 파는주문을 정한다.
3) Symbol
어떤 주식을 주문할지 정한다.
3) #Shares
얼마나 살지 정한다.
4) Limit or Market
한정된 주문인지, 시장가격인지 정해야한다.
시장가격은 말그대로 시장에 현재 형성되어있는 가격으로 구매한다는뜻이고, limit은 내가정한 가격이거나 내가정한 가격보다 더 좋아야 한다. 예를들어 살때의 경우 내가 500원에 산다고했으면 450원이나 500원에 사야하지 510원이상으로는 안사겠다는 의미이다.
5) price
Limit 일경우에만 가격을 정해서 주문한다. market가격일 경우 시장가격이라서 가격을 따로안정해도 된다(바로 거래됨)
우리나라같은 경우는 일어날일이없지만 미국같은경우
NYSE와 LONDON의 주식거래소에서 같은 주식인데 가격이 다를경우가 있다고한다. 그럼 hedge fund매니저들은 그사이의간격을 이용해서 더낮은 가격의 주식을사서, london거래소에 파는 방법을 사용하곤하는데 잘일어나지 않는다. 이런방법을 아비트라지전략이라고한다.
브로커를 통한 방법죽에 여러가지 order types가 더있다.
1) stop loss
주식가격이 내가정한 가격으로 떨어지면 팔게된다는뜻이다. 예)현재가격이 100원인데 50원이 되면 팔겠다.
2) stop gain
주식가격이 내가정한 가격으로 오르면 사겠다는뜻이다.
3) trailing stop
주식가격의 변화를 보고 거래를 하겠다는 뜻이다. 예를들어 내가 100원에 주식을 팔기로했는데, 주식가격이 처음 90원이었다가 100원이면 팔아야하는데 팔지않고 계속기다렸다가 110원,120원 .. 갔다가 떨어지면 그때 팔겠다는 의미가 된다.
4) sell short
이방법은 공매도 방법으로, 내가가지고있지도 않은 주식을 파는 방법이다.
덧글